기획연재 -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의 검색과 활용 : ② 태그, 주석, 서평과 기타 검색 관련 기능
검색데이터에 대한 이용자 참여와 활용
두 번째 순서로 전자도서관을 활용한 웹2.0의 ‘참여’, ‘공개’, ‘공유’에 관한 다양한 기능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.
중앙인 여러분이 검색한 홈페이지 결과에 대해 의견을 반영하고 공개하여 중앙인 상호간에 공유함으로써 여러분 스스로 검색데이터를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.
다른 대학도서관을 비롯한 대부분의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검색된 결과는 사서가 구축하여 제공하는 검색데이터만을 수동적으로 검색하고 조회할 수밖에 없습니다.
우리 대학의 전자도서관 홈페이지에서는 검색과 관련하여 이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아래 [그림1]을 보면, 검색결과에 대한 상세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.
그림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태그와 주석, 서평 기능이 있으며, 페이지 상단에는 검색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책갈피추가, 북마크 공유 기능 등도 제공하고 있습니다.
• 태그는 일종의 꼬리표와 같은 것으로 검색결과에 대한 이용자 관점의 키워드를 반영하여 같은 태그가 달린 검색결과를 한 번에 추려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• 주석은 사서가 생성한 검색데이터에 대해 이용자 관점에서 검색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하여 반영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
• 서평은 도서를 비롯한 모든 이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용자 평가를 작성하여 반영하는 기능입니다.
[그림 1] 검색 결과에서 '태그', '주석', '서평' 작성 기능
태그 작성을 위해서 [그림 1]의 상세보기화면 태그 탭 아래 ‘입력된 태그 정보가 없습니다’ 혹은 기존에 입력된 태그 옆에 ‘+’를 클릭하면 [그림 2]와 같은 입력창이 생성됩니다.
[그림 2] 태그 입력화면
텍스트박스 안에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고 ‘저장’ 버튼을 클릭하면, 태그가 생성되며 태그를 클릭하면 해당 태그가 등록된 소장정보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한줄 주석을 작성하기 위해서 [그림 1]의 상세보기화면 상세데이터 우측 하단의 ‘컨텐츠 한줄 주석 쓰기’ 버튼을 클릭하면 [그림 3]과 같은 입력창이 생성됩니다.
[그림 3] 주석 입력화면
‘제목’은 [그림1]의 검색 상세데이터의 ‘자료유형’, ‘서명/저자’와 같이 특정 항목 이름이 됩니다. ‘내용’은 해당 항목에 대한 데이터입니다.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, 상세데이터 하단에 추가됩니다.
서평을 작성하기 위해서 상세보기화면 제일 하단에 서평 ‘쓰기’ 버튼을 클릭하면 [그림 4]와 같은 입력창이 생성됩니다. 서평에 대한 ‘제목’과 ‘내용’, ‘별점’을 부여하고, 공개 여부를 선택하여 ‘저장’하면 됩니다.
[그림 4] 서평 입력화면
자신을 포함한 모든 이용자들이 작성한 서평은 ‘이용자서평’ 게시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, 홈페이지 상단 메뉴 ‘도서관게시판 - 이용자서평’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.
‘주석’, ‘태그’, ‘서평’과 같은 기능은 위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이외에 학술정보에 대한 중앙인 여러분의 생각과 관점을 반영할 수 있는 열린 공간과 기능들입니다.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활용을 권장합니다.
이번에 소개한 내용은 도서관 블로그(http://caulib.tistory.com/)를 통해서도 제공하고 있으며, 트위터 @caulib_EJ를 이용하시면, 도서관 전자자료를 비롯한 학술정보검색에 관한 안내사항을 전달받으실 수 있습니다.
도서관 블로그와 트위터 계정으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다음 호에는 “위젯기능과 RSS서비스의 활용”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'학술정보원 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획연재-중앙도서관 학술정보의 검색과 활용] ③ 위젯기능과 RSS서비스의 활용 (0) | 2011.03.24 |
---|---|
[기획연재-중앙도서관 학술정보의 검색과 활용] ① 도서관 정보검색의 화면 구성 (0) | 2011.03.03 |
[이용교육]3월 중앙도서관 이용교육 안내 (0) | 2011.03.03 |